본문 바로가기
물어보고 답듣기

<이정미>님에 대한 답글입니다.

by 방맨 2010. 1. 14.

음... 이런 경우는 사실 안과의사들이 많이 경험하는 내용입니다. 환자분들은 <아니 눈병하고 알러지도 구분 못하나?>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그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다른 안과에서 처음 알러지라고 생각하고 치료를 하셨다고 했는데 아마도 그때는 유행성각결막염이라고 생각할만큼 증상이 심하지 않았거나 주증상이 가려움증이라고 판단하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초반 진단명이 명확치 않은 경우도 많고 알러지결막염이라도 가렵다고 하지 않거나 마치 눈병처럼 염증과 눈꼽만 심한 경우도 있으므로 첫치료가 잘못 되었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저도 임상에서 실제로 이런 경우처럼 알러지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유행성눈병이어서 치료가 좀 길어지겠네요 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그리고 만약 유행성 각결막염이 맞다면 치료는 약 2주 정도 걸립니다. 약을 써서 좋아지는 것이 아니고 눈병의 자연경과로 호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약을 써도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쪽 눈에 더 심하게 발생하고 이후 반대편으로 넘어가서 경과가 지난 후에 차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므로 <이정미> 님께서 올린 글을 토대로 본다면 유행성 눈병이 맞아 보이네요.

눈병이 심하면 각막에 상처가 생기기도 하고 위막이 생기면서 아이가 힘들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현재 심하지 않고 비슷하다면 다니시던 안과에서 계속 치료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양쪽 눈이 비슷한 시기에 충혈되고 눈꼽이 낀다면 유행성각결막염 보다는 그냥 일반 결막염일 확률이 높고 노란 눈꼽보다는 실타래 같은 긴눈꼽이 하얗게 낀다면 알러지결막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아이의 증상이 심하다면 다음에 가시면 아마도 연고처방을 해주실 것으로 생각이 되네요. 진단명이 바뀌고 아이가 오래 고생하는것 같아 안타까우시겠지만 눈병이라면 설사 대학병원에 간다고 해도 2주는 치료를 해야 한답니다. 그러니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일단 충분히 안약과 연고를 써 보았으면 합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물어보고 답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안과 원장 인연석입니다  (0) 2009.12.29